묵주 기도를 합시다

묵주의 역사

신앙의 연대표
묵주에서 현대 신앙까지

기원과 초기 발전

  • 기독교 이전의 뿌리: 기독교적 특성이 뚜렷하지만, 기도 구슬은 다른 문화권에서도 존재했다. 그러나 묵주의 150번의 성모송은 수도사들이 암송하던 150편의 시편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.
  • 11-12세기:
  • 평신도들은 주님의 기도를 세기 위해 매듭을 지은 끈을 사용했으며, 이는 성모송을 포함한 ‘성모의 시편’으로 발전했다.

성 도미니코와 13세기:

  • 1214년 환시: 전통에 따르면 성 도미니코가 알비젠스 이단을 퇴치하기 위해 성모 마리아로부터 묵주를 받았으나, 학자들은 직접적 귀속 여부를 논쟁 중이다.
  • 도미니코회의 보급: 그의 수도회가 집단 묵주기도를 대중화하며 초기 신심회를 형성했다.

구조적 진화:

  • 15세기: 그리스도의 생애 묵상을 포함한 다섯 단(주님의 기도 + 성모송 10회)으로 고정됨.
  • 16세기 표준화:
  • 레판토 해전(1571): 교황 비오 5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승리를 묵주 기도에 돌리며, 묵주 성모 대축일(10월 7일)을 제정함.
  • 기도 추가: 성모송 후반부(“거룩하신 마리아여…”) 확정; 영광송이 표준화됨.

현대적 발전:

파티마 기도: 1917년 발현 이후 추가되어 1930년대 공식 인정됨.

홈페이지로 돌아가기